기타
👩💼 기업 내부변호사(In-house Counsel)를 하는 이유는?
애드워드 성
2025. 4. 30. 20:45
반응형
1. 기업 내부변호사를 선택하는 이유
로펌이나 개업 변호사에 비해, 기업 내부에 소속되어 일하는 변호사는 비교적 안정적이고 예측 가능한 근무 환경을 갖는다.
사내 변호사는 요즘 들어 많이 늘어나는 추세인데
다음과 같은 이유로 이 직무를 선택하는 경우가 많다
- 워라밸 확보: 상대적으로 근무 시간이 정해져 있고, 주말 출근이 거의 없음
- 업무의 지속성: 반복적이고 예측 가능한 계약·법률 검토 중심 업무
- 안정된 수입: 급격한 수입 증감이 없고 매달 고정 급여가 나옴
- 기업 법무팀 커리어 선호: 특정 산업군에 대한 이해도 쌓이며, 향후 임원으로 성장 가능
2. 평균 연봉 (2024년 기준)
- 초임 기준: 약 6천만 ~ 8천만 원
- 대기업 팀장급 이상: 1억 ~ 2억 원 이상 가능
- 업종(금융, 제약, IT 등)에 따라 차이가 있으며, 스톡옵션 등을 받는 경우도 있음
3. 장점
- 정해진 근무 시간: 로펌과 달리 출퇴근이 명확하고, 야근·주말 근무가 거의 없음
- 심리적 안정감: 고객 영업이나 사건 수임 압박이 없으며, 조직 내 관계에 집중
- 육아·가정과의 병행 용이: 특히 자녀가 있는 경우 시간 관리가 수월함
- 조직 생활을 통한 성장: 법률뿐 아니라 비즈니스 이해도와 커뮤니케이션 능력도 함께 발전
4. 단점
- 연봉 상한선이 뚜렷: 로펌에 비해 연봉 상승 폭이 작고, 구조적으로 억대 연봉을 넘기 어렵기도 함
- 법률 전문가로서의 깊이 부족 우려: 반복적이고 정형화된 업무로 인해 사건 처리 능력이 떨어질 수 있음
- 사건 수임이나 실무 스킬 유지 어려움: 실제 소송이나 협상 경험이 부족해질 수 있음
- 조직 문화 영향: 기업마다 분위기가 다르며, 법무팀이 비주류 부서로 여겨질 경우 위축되기도 함
5. 결혼 후 많이 선택하는 이유
- 가정과의 양립이 용이: 결혼 후 육아나 가족과 보내는 시간이 중요해지면서, 로펌의 격무를 버티기 어려운 상황이 많음
- 정기적인 근무 시간과 휴가: 배우자와의 일정 조율, 자녀 양육 등 실생활에서의 유연함이 핵심 장점
- 재정 안정성: 로펌처럼 고연봉은 아니지만, 급격한 수입 변동이 없고 고정 월급이 나오므로 가정 경제 운영에 안정적
- 배우자의 커리어와 균형: 특히 맞벌이 부부의 경우, 둘 다 로펌 근무 시 시간 조율이 어려워 한 쪽이 인하우스로 전환하는 경우가 많음
이런 5가지 이유에서 로펌을 근무하다가
기업으로 가는 경우가 많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