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MBTI와 심리구조

공포영화, 공포게임 싫어하는 MBTI는?

반응형

MBTI 유형 중에서도 공포 영화를 절대 못보고, 공포 게임을 절대 못하는 사람들이 있다.

아니, 애초에 시도조차 하지 않으려는 유형도 있다.

소름 끼치는 음악이 흐르고 어두운 배경 속에서 무언가 튀어나오는 순간, 화면 앞에서 비명을 지르며 마우스를 던져버릴 것 같은 사람들 말이다. 

보통 공포 게임을 싫어하면 공포 영화도 싫어하는 편이다. 편의상 공포 게임=공포 영화로 놓고 글을 쓰겠다. 그렇다면, 어떤 MBTI 유형이 공포 게임과 거리를 두고 살고 있을까?

 

1위. INFP - 상상력의 덫에 빠진다

INFP들은 깊은 상상력을 가지고 있다. 이것은 그들의 강점이지만, 공포 게임에서는 약점으로 작용한다.

 

공포 게임 속 괴물이나 유령이 화면에서 사라진다고 해도 INFP의 머릿속에서는 그들이 여전히 존재한다.

심지어 게임을 끄고 나서도 그 괴물들이 문 뒤에 숨어 있을 것만 같다. INFP는 상상력이 뛰어난 것으로 알려져 있다. 

 

상상력 때문에 현실 속에서도 무서운 장면을 반복적으로 떠올리며 잠 못 이루는 경우가 많다.

 

그래서 공포 게임보다는 차라리 따뜻한 스토리의 힐링 게임을 더 좋아한다.

 

2위. ISFJ - 현실감 넘치는 공포에 질려버린다

ISFJ들은 현실적인 사고를 가지고 있으며, 그들은 타인의 감정을 잘 공감한다. 듣는 능력에 있어서 가장 우수한 MBTI 중 하나로 알려져 있다. 

 

문제는, 공포 게임 속 인물들의 고통과 두려움을 ISFJ들이 지나치게 진지하게 받아들인다는 것이다.

게임 속 상황이 그들에게는 단순히 픽셀로 구성된 가상의 일이 아니라, 실제로 벌어지고 있는 일처럼 느껴진다.

그래서 공포 게임을 하는 순간, 그들의 심장은 두 배로 뛰고 숨은 가빠지며 진짜 위협을 받고 있는 것 같은 기분이 든다.

안전한 장소에서 편안한 마음으로 즐길 수 있는 게임이 ISFJ들에게 훨씬 더 잘 맞는다.

 

3위. INFJ - 감정적으로 너무 몰입한다

INFJ들은 공포 게임의 분위기에 쉽게 몰입하고, 그 안에 깃든 감정을 깊이 느낀다.

 

그들은 캐릭터들이 겪는 두려움과 고통을 마치 자신의 것처럼 받아들이며, 게임을 플레이하는 동안 계속해서 불안한 감정을 느낀다.

또한 INFJ들은 게임의 스토리나 상징에 민감하기 때문에, 공포 게임의 어두운 주제나 메시지가 그들에게는 정신적으로 무겁게 다가올 수 있다.

 

그래서 이들은 공포 게임보다는 차라리 스토리가 깊고 희망적인 내용을 담은 게임을 선호하는 편이다.

 

4위. ENFP - 놀라움을 즐기기보다는 기피한다

ENFP들은 새로운 경험을 즐기는 경향이 있지만, 그것이 공포와 연관된 경우 이야기가 달라진다. 그들은 밝고 긍정적인 에너지를 주변에 뿌리고 싶어하는데, 공포 게임의 어두운 분위기는 그들의 에너지를 급속도로 고갈시킨다.

ENFP는 게임에서 무언가 튀어나와서 자신을 놀라게 하는 것을 좋아하지 않으며, 그 순간마다 무의식적으로 게임을 꺼버리고 싶어진다. 차라리 친구들과 함께 웃고 즐길 수 있는 파티 게임이나 모험 게임이 훨씬 더 적합하다.

 

T가 보통 F보다 공포 게임을 잘하지만

MBTI 유형 간의 공포 게임에 대한 태도 차이를 보면, 보통 F 유형들이 T 유형들보다 공포 게임을 더 어려워하는 경향이 있다. F 유형 중에는 한 번 공포의 감정을 느끼면 그 감정이 오래가고 심지어 꿈에 나타나는 경우도 있다.

하지만 모든 F가 공포 게임을 싫어하는 것은 아니다. 일부 F 유형들은 처음에는 두려워하지만, 시간이 지나면서 공포에 적응하고 결국 공포 게임을 즐기기도 한다.

 

T 유형들은 상대적으로 공포 게임을 잘 견디고 즐기는 편이지만, T 중에서도 공포 게임을 좋아하지 않는 사람들이 있다. 특히 T 유형 중에서도 사고가 강하면서 동시에 감정적 요소가 강한 사람들은 공포 감정에 더 예민하게 반응할 수 있다.

 

즉, 같은 T 유형이라도 개인의 성향에 따라 공포에 대한 반응이 다를 수 있는 것이다.

 

이렇게 공포 게임을 즐기기 어려운 MBTI 유형들이 있다. 그들에게 공포 게임은 단순한 스릴을 즐기는 것이 아니라, 자신을 불안과 두려움 속으로 던져놓는 것처럼 느껴지기 때문이다.

 

대신 그들은 마음을 편안하게 해주는, 따뜻하고 긍정적인 게임을 통해 자신의 세계를 채워나간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