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심리학

“쎄하면 피해라”가 정말일까? - 직감의 가치에 관해

반응형

“쎄하면 피해라”가 정말일까?

많은 사람들은 직감이란 것이 실제로 중요한 역할을 한다고 믿어. 우리가 흔히 듣는 "쎄하면 피해라"는 말은 단순한 속설이 아니라, 실제로 우리의 생존 본능과 밀접한 관련이 있어.

제프 베조스, 일론 머스크, 스티브 잡스, 그리고 정주영 같은 세계적인 CEO들도 중요한 의사결정을 내릴 때 직감을 매우 중요하게 여겼다고 해. 이들은 분석적이고 체계적인 접근법을 선호하면서도, 궁극적으로 중요한 순간에는 자신의 직감을 신뢰했어.

제프 베조스는 중요한 결정을 내릴 때 "70%의 정보만 있어도 결정한다"고 이야기했어. 이는 모든 정보를 얻기 위해 기다리기보다는 직감을 믿고 빠르게 움직이는 것이 중요하다는 뜻이야.

일론 머스크 역시
스페이스X테슬라와 같은 도전적인 사업을 진행하면서 직감에 의존한 결정을 많이 내렸다고 해. 그의 직감은 종종 기존의 틀을 깨고 새로운 길을 개척하는 데 큰 역할을 했어.

스티브 잡스아이폰과 같은 혁신적인 제품을 개발할 때 직감을 중요하게 여겼고, 정주영 회장은 거침없는 추진력으로 사업을 확장할 때 자신의 직감을 믿고 많은 결정을 내렸어. 이들은 모두 직감이 단순한 느낌이 아니라 경험과 지식이 결합된 중요한 도구라고 여겼지.

 

또한, 범죄 수사관들도 오랜 경험을 통해 특정한 상황에서 "쎄하다"고 느끼는 직감을 사용해 범인을 찾아낸 적이 많아.예를 들어, 범죄 현장에서 수사관들은 눈에 보이지 않는 미세한 단서들을 무의식적으로 파악하고, 이를 바탕으로 특정 용의자가 범인일 가능성을 직감적으로 느끼곤 해.

이처럼 직감은 단순한 느낌이 아니라, 오랜 경험과 무의식적 판단이 결합된 결과라고 할 수 있어. 때로는 복잡한 데이터를 분석하기보다 직감을 따르는 것이 훨씬 빠르고 효과적인 경우도 많지. 단순히 관상 같은 거라기 보다는 복합적인 정보를 무의식적으로 처리하는 과정에 가까워.

 

직감은 우리가 인지하지 못하는 수준에서 수많은 정보를 처리하고, 이를 바탕으로 빠르게 결론을 도출하는 과정이야. 이는 무의식적인 종합적 판단의 결과로, 우리 뇌는 과거 경험, 환경적 단서, 그리고 내면의 지식을 바탕으로 복잡한 상황에서 직감을 형성해.

우리 의식은 1초에 8바이트의 정보만 처리할 수 있어. 글자로 치면 8글자 정도야. 하지만 무의식은 10만 바이트에서 10기가 바이트의 정도까지도 처리할 수 있어. 글자로 치면 10만자에서 1000억 글자까지야.

실제 우리는 딱히 의식은 안하지만 숨을 자연스럽게 쉬고, 음식을 소화시키고, 자연스럽게 걷고, 손을 움직이고, 물건을 짚고, 날이 밝은지 어두운지 알고, 소리가 먼곳에서 오는지 가까이서 오는지 등을 다 구분해. 놀라운 건 이 모든 걸 다 동시에 하면서 의식도 안 한다는 점이야. 

 

우리가 무의식적으로 처리하는 정보는 어마어마하게 방대하고, 그렇게 많이 처리한다는 걸 따로 생각 안하고 살고 있어. 직감은 무의식적으로 엄청난 정보를 처리해서 순식간에 결론을 내는 과정으로 볼 수 있어. 

예를 들어, 우리가 어떤 사람을 처음 만났을 때 그 사람에 대해 "좋지 않은 느낌"을 받는 경우가 있는데, 이는 과거의 경험들이 무의식적으로 작용하여 경고 신호를 보내는 거야. 이러한 과정은 의식적으로 이루어지지 않기 때문에 마치 '느낌'처럼 다가오지만, 사실은 매우 복잡한 판단의 결과물이야.

직감은 또한 생존 본능과도 관련이 깊어. 원시 시대에는 포식자나 위험한 상황을 피하기 위해 빠르게 판단하는 능력이 중요했어. 우리의 조상들은 직감을 통해 위험을 감지하고 즉각적으로 반응할 수 있었고, 이는 생존율을 높이는 데 큰 역할을 했지. 이런 본능이 현대에도 남아 있어 직감이 우리의 의사결정에서 중요한 역할을 하게 되는 거야. 

남녀의 직감 차이

남성과 여성의 직감에는 차이가 있다고 해. 일반적으로 여성은 남성보다 직감이 더 강하다고 여겨져. 이는 진화적인 배경과 생리적인 차이에서 비롯된 것이야. 과거 수렵-채집 사회에서 여성들은 주로 아이들을 돌보고, 공동체 내에서 위험 요소를 감지하는 역할을 담당했어.

이러한 역할은 여성들이 더 민감하게 주변 상황을 파악하고, 작은 변화에도 빠르게 반응하도록 발전하게 했지. 실제로 연구에 따르면, 여성들은
감정적 단서비언어적 신호를 더 잘 인식하고, 이를 바탕으로 빠르게 직감을 형성하는 경향이 있어.

반면에 남성은 위험한 상황에서의 신속한 대응이나, 사냥과 같은 즉각적인 행동에 더 중점을 두었기 때문에, 직감보다는 논리적 판단이나 신체적 대응에 강점을 가졌어.

이는 남성들이 위험을 직감할 때 그 느낌을 즉각적인 행동으로 전환하려는 경향으로 나타나지. 하지만 이런 차이에도 불구하고, 남성도 경험과 지식을 통해 중요한 순간에 직감을 사용하며, 직감의 정확성은 경험의 축적에 따라 점점 더 향상될 수 있어.

여성의 직감이 더 뛰어나다고 여겨지는 또 다른 이유는 호르몬과 관련이 있어. 에스트로겐은 뇌의 감정 센터에 영향을 미쳐, 감정적으로 민감한 반응을 이끌어내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해.

이러한 이유로 여성은 타인의 감정 변화를 더 잘 감지하고, 그에 따라 직감을 형성하는 능력이 더 강할 수 있어. 이는 대인관계에서 여성들이 보다 직감적으로 상황을 파악하고, 타인의 감정을 이해하는 데 능숙한 이유 중 하나야. 

 

일반적으로 찜찜한 사람을 판단하는 직감은 여자가 우수할 가능성이 높고, 순간적인 대응이나 몸을 움직여 적을 쫓아야하는 상황에 대한 직감은 남자가 우수할 가능성이 높아.

직감과 직관의 차이

직감직관은 종종 비슷한 의미로 사용되지만, 사실은 다소 차이가 있어. 직감은 즉각적이고 무의식적인 판단에 가까워. 예를 들어, 어떤 사람이 위험하다고 느낀다면, 이는 직감이 작용한 결과야.

직감은 순간적으로 뇌가 방대한 양의 정보를 처리하고, 이를 바탕으로 신속하게 결론을 내리는 과정이기 때문에, 의식적으로 왜 그런 결론에 도달했는지 설명하기 어려운 경우가 많아.

반면에 직관은 조금 더 의식적이고 논리적인 요소가 포함된 판단 과정이야. 직관은 기존의 지식과 경험을 바탕으로, 우리가 논리적으로 설명하지 못하더라도 어떤 방향이 옳다고 느끼는 것을 말해.

쉽게 말해, 직감은 순간적으로 "느끼는 것"이라면, 직관은 조금 더 깊이 있는 "알아차림"이라고 할 수 있어. 직관은 오랜 시간 축적된 경험과 지식을 바탕으로 한 내면의 통찰력이기 때문에, 때로는 직감보다 더 체계적이고 논리적인 근거를 가질 수 있지.

 

 

직감은 즉각적이고 감각적인 반응에서 비롯되며, 특히 감정이나 본능에 의존하는 경우가 많아. 예를 들어, 무언가 위험하다고 느낄 때, 그것은 직감이 경고 신호를 보내는 것이야.

반면에
직관은 좀 더 복잡한 상황에서 나오는 심층적인 통찰이라고 볼 수 있어. 직관은 기존에 축적된 경험과 학습된 지식을 바탕으로, 더 깊이 있는 사고 과정을 통해 형성돼. 직관은 때로는 장기적인 계획이나 전략을 세우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할 수 있어.

직감은 때로는 말로 설명하기 어렵고, 논리적으로 증명하기 힘들지만, 많은 사람들이 중요한 순간에 직감을 신뢰하는 이유는 그만큼 우리의 무의식이 실제로 많은 정보를 빠르게 처리하고 있기 때문이야.

따라서 "쎄하면 피해라"는 말은 우리의 무의식적 판단을 신뢰하고 존중하는 중요한 지침이 될 수 있어. 직감은 특히 예기치 않은 상황에서 빠르게 결정을 내려야 할 때 큰 도움이 되지. 우리 뇌는 수많은 정보와 경험을 바탕으로 위험 신호를 무의식적으로 감지하며, 이를 통해 생존 확률을 높여줘.


직감의 개인차이 - 내 발달 정도를 기록하고 확인하자

모든 사람이 직감이 발달한 것은 아니야. 어떤 사람은 직감을 따르면 오히려 손해를 많이 봐. 따라서 내 직감이 잘 맞는지 안 맞는지 확인을 해볼 필요가 있어. 보통 사람은 내가 항상 맞는 생각을 해왔다고 여기기 쉽기에 내 직감이 잘 맞는다고 착각하기 쉬워. 그러니 내가 쎄한 느낌을 받았을때 이 느낌이 맞았는지를 기록해 두었다가 나중에 확인을 하는 거지. 

 

- "2024.11.16일에 'XX'란 사람을 만났는데 좀 느낌이 안 좋았다"  

 

- "2024.12.24일에 OO의 조언을 듣고 이사를 가기로 마음 먹었는데 무언가 찜찜했다"

 

같은 식으로 적어두었다가 2-3달 뒤에 나온 결과와 내 직감을 비교해보면

내가 얼마나 직감이 좋은 사람인지 알 수 있어.

 

아니면 내가 과거에 직감을 무시했을때 결과가 좋았는지 나빴는지 떠올려봐. 

내 직감을 무시했을때 결과가 좋았다면 계속 직감을 무시하면 좋고 

내 직감을 무시했을때 결과가 나빴다면 직감을 믿도록해.

 

내가 직감이 좋다면 직감을 더 발달시키고

내가 직감이 좋지 않다면 직감을 덜 쓰는 게 좋아. 

 

결론

 

결론적으로, 직감은 단순한 느낌이 아니라 우리가 인지하지 못하는 수준에서 복잡한 정보를 종합적으로 처리한 결과물이야. 직감은 경험, 지식, 환경적 단서를 모두 바탕으로 이루어지기 때문에, 이를 무시하기보다는 의사결정에 잘 활용할 방법을 찾는게 현명해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