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나르시스트는 지능(IQ)에 집착하는 경향이 있다. 살면서 다수의 나르시스트를 만났는데 대다수가 남들보다 우월함을 뽐내고 싶어했다.  그 중 대표적인 게 '지능'이었다. 스스로를 똑똑하고 남들보다 잘났다고 생각하기 때문인걸로 보인다.  사실 고등학교 졸업하고 나면은 지능, IQ 같은 것은 잘 신경 쓰지도 않는다.  우리 일상 생활이랑 엄청난 관련이 없다는 걸 경험적으로 알기 때문이고 지능보다는 지혜가 중요하다는 걸 깨닫기 때문이다. 또 하워드 가드너 같은 학자에 따르면 지능은 8가지 이상 있다. 8가지 지능에는 공간지능,언어지능,운동지능 등이 있다. 한 가지 지능이 우수하다고 해서, 다른 지능이 우수한 것은 아니며 한 가지 지능이 다른 지능보다 낫지도 않다. 그런데 나르시스트들은 희안하게도 누가 똑똑하다, 내가 더 똑똑하다에 집착을 한다. 왜 이럴까? 한.. 더보기
인터넷 커뮤니티는 왜곡된 시각을 키운다. 특정 성향이 몰려 있는 커뮤니티를 하면 할수록 세상을 잘못된 관점으로 보게 될 가능성이 높아진다. 보통 사람은 자신과 비슷한 생각을 지닌 사람에게 끌린다. 자신의 생각을 지지해 주는 사람에게 마음이 가고, 그런 이야기를 듣고 싶은 건 인간의 본성이다. 그래서 대학생이 되면 대학생 커뮤니티를 가고 직장인이 되면 직장인 커뮤니티를 가고 남자면은 남초 커뮤니티를 가고 여자면은 여초 커뮤니티를 가고 아이가 생기면 육아(맘) 커뮤니티를 간다. 이런 커뮤니티는 장기적으로 보았을때 하면 할수록 해롭다. 커뮤니티들은 한쪽으로 생각이 쏠린 경우가 많기 때문이다. 그리고 쏠린 생각을 지지하는 글이 계속해서 올라오고, 댓글로도 지지를 한다. 남초 커뮤니티를 하게 되면 여성에 대해 왜곡된 시각을 가지게 된다. 남초 커뮤니티를.. 더보기
왜 연예인이나 유명인들의 mbti는 죄다 f일까? mbti에 관심이 있는 사람이면 알겠지만 유명 유튜버들이나, 연예인들이 mbti 대답한 영상을 보면 95%는 t가 아니라 f가 나온다. 보통 f는 남의 감정을 신경 쓰고, 공감능력이 뛰어난 사람들이 많이 나와야 정상이고 t는 직설적으로 말하고, 분석을 많이 하는 사람이 나와야 정상이다. 그런데 엄청나게 분석적이고 타인의 느낌을 고려 안하고 할말 다하는 이들도 본인의 검사 결과는 'f'로 나온 경우가 대단히 많다. 그래서 검사 결과를 보고 깜짝 놀라고는 한다. "아니 저 사람이 isfp 라고?? 말도 안돼.." 이렇게 밖에서 보는 t 와 f 가 큰 차이가 나는 이유는 2가지 때문이다. 1. 사람은 자신을 객관적으로 볼 줄 모른다 2. 방송이기에 남의 눈치를 보면서 대답을 한다. 이 이유에 대해서 설명을 해.. 더보기
나르시시스트는 왜 생길까? 싸이코패스는 유전자와 상당히 관련이 있다고 한다. 싸이코패스의 두뇌를 측정해본 결과 감정을 담당하는 부분이 덜 활성화되었다고 한다. 날때부터 싸이코패스인지 아닌지가 결정이 되며 성장과정에서 주는 영향은 크지 않다. 다만 싸이코패스를 중고등학교때 알아보고 좋은 교육 및 도덕 훈련을 받으면 어느정도는 제어가 가능하다고 한다. 다만 20살이 넘어서는 그대로라고 보면 된다. 반면 나르시시스트는 유전적인 면에서 밝혀진게 아무것도 없다. 나르시시스트의 두뇌나 유전자를 측정했지만 일반인과 다른게 없었다. 나르시시스트를 자주 만나본 경험에 따르면 3가지인 경우에 높은 확률로 나르시시스트가 되는 것으로 보인다. 1. 어렸을때부터 계속 승승장구한 경우 2.어렸을때 강한 컴플렉스가 있었기에 이를 승화할 필요가 있었는 경우 .. 더보기
나르시스트에 끌리는 사람의 특징 유독 나르시스트만 골라서 연애를 하는 사람이 있다. 고르고 고른 남자,여자가 항상 나르시시스트라서 다음에도 주의하는데 이번에도 어김없이 나르시스트이다. ( 같이 읽으면 좋은 글 - 나르시스트 알아보는 법) 왜 계속 나르시시스트에 끌리는걸까? 답은 간단하다. 바로 어렸을때의 성장과정에 문제가 있었기 때문이다. 부모에게 사랑을 제대로 받지 못하고 자랐거나 나르시즘 성향이 강한 부모 밑에서 자란 자녀는 커서 둘 중 하나가 된다. 1.부모처럼 나르시시스트가 된다. 2.자존감이 낮은, 의존적인 사람이 된다. 보통 부모가 극단적인 사람인 경우 닮거나 반대로 가기 때문이다. 이 중 2번째인 경우가 특히 위험하다. 나르시스트에 매우 끌리기 때문이다. 우리 인간은 친숙한 것을 찾는 경향이 있다. 거기에 자신에게 없는 걸.. 더보기
어떤 이성을 결국 만나게 될까? 주변 결혼한 커플을 보면 보통 2가지로 나뉘게 된다. 나랑 비슷하거나 나의 결핍을 채워줄 사람이다. 이건 거의 공식이라고 봐도 무방하다. 단순히 비슷하다고 말하거나, 결핍을 이야기하면 이해가 안될 수 있으니 조금 예를 들어보겠다. 1. 나랑 비슷한 사람 비슷한 것에는 여러 종류가 있지만 보통 외모, 경제적, 성장환경, 취미, 종교 등을 말한다. 차이가 덜 날수록 만나기가 쉽다. 외모가 비슷하거나 외모의 잘생기고 이쁨이 비슷하다면 서로 만날 확률이 올라간다. 키도 차이가 적을수록 결혼할 가능성이 올라간다. 경제적 능력이나 교육 수준도 비슷하면은 비슷할수록 서로를 이해할 가능성이 올라가기에 잘 만나게 될 가능성이 높다. 예컨데 대기업을 다니는 사람은 대기업을 다니는 사람을 만날 가능성이 높고 사업 하는 사람.. 더보기
mbti 바람둥이일 가능성이 높은 유형은? 아직 심리학적으로 연구된 결과는 없다. 다만 바람필 가능성이 높은 유형이 있기는 하다.  보통은 e와 t가 들어가는 경우게 바람을 필 가능성이 올라간다. 또 p인 경우가 j인경우보다 약간 더 바람필 가능성이 있다. 설명을 해보자면 다음과 같다. e의 경우는 외향성을 말하는데, 밖으로 돌아다니면서 사람을 많이 만날수록 좀 더 많은 이성을 만나게 되고 자연스레 바람필 유혹에 빠지게 된다.  t의 경우는 얼마나 감정적이냐 냉정하냐를 말하는데 냉정하면 냉정할수록 t 점수가 높다. 즉 t가 있으면 양심의 가책을 안 느끼고 바람필 가능성이 생긴다는 것이다. p의 경우 얼마나 성실하냐, 규칙적이냐를 말하는데 불규칙한 사람일수록 약속을 덜 지킨다. 사귀는 사람끼리 하는 약속이 무엇이겠는가바로 바람을 안 피는 것이다. .. 더보기
결혼하면 좋은 남자에 대해서 알아보자 보여지는 외모, 학벌, 직장 등을 빼고 정신적인 측면에서만 어떤 남자가 최고인지 적어보겠다 보통 무난한 가정에서 자라온 분들을 선호하는데 내 생각은 좀 다르다. 그 이유를 적어보겠다 ​ 1순위 - 어려웠지만 다 극복한 남자 우리가 살면서 많은 문제를 만난다. 결혼하고도 각종 문제가 생긴다 ​ 어려웠는데 다 넘어선 남자는 정신도 강하고 의지할 수 있으며 새 문제가 생겨도 다 해결한다. 이런 남자는 직업이 없어지면 어떻게든 새로 구한다. 육아 문제가 생겨도 어떻게든 해결한다. 결혼 상대로 1순위라고 볼 수 있다. ​ 마음씨도 넓고, 다양한 부류의 사람을 이해할 줄 알며 지혜롭다. ​ 단점은 매우 찾기 힘들다는 것이다.. 보통 어려운 일을 겪며 정신이 단단해지는 사람이 적기 때문이다. ​ 2순위 - 순탄했지만..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