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MBTI

MBTI 분석 - J와 P 중에 어떤 사람이 대기업, 스타트업에 잘 어울릴까? 흔히 우리는 대기업, 공기업을 최고의 직장으로 여겨왔다. 탄탄한 복지와 높은 이름값 그리고 높은 수준의 연봉까지... 하지만 최근 들어 스타트업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다. 국민 여동생 수지가 드라마 스타트업에 나왔기 때문이기도 하지만 스타트업 창업자들이 조단위 부자가 되는 케이스가 여럿 나왔기 때문이다. 그래서 많은 이들이 대기업에서의 안정이냐, 스타트업에서의 도전이냐를 놓고 고민을 많이 한다. 허나 당신은 완전히 잘못된 이유로 직업 환경을 옮기려는 걸 수도 있다. 대기업에서 에이스였던 당신이 스타트업에 가면은 형편없는 사람이 될 수도 있다. 스타트업에서 일당백이었던 당신이 대기업에 가면 무능력자가 될 수도 있다. 우리는 보통 자기 자신의 능력과 환경을 고려하지 않고 선택을 한다. 한번 잘못된 선택은.. 더보기
MBTI 유형 정리 - ISTJ 신중하며 책임감이 강한 유형 MBTI 유형 중 한국에 가장 흔한 유형이 ISTJ라고 합니다. 전체 인구의 10%에 달한다고 하네요. 세상의 소금형이라고 불리기도 하는데요. 그만큼 없어서는 안될 존재이기 때문이죠. ISTJ는 일처리가 명확하고, 순서 확실한 곳에서 일을 잘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공기업이나 대기업, 은행 등에서 큰 역량을 발휘할 가능성이 높지요. 공학이나 과학 분야에서도 좋은 결과를 만들어 낸다고 합니다. 숫자에 강한 유형이기 때문입니다. 컴퓨터 프로그래머 중에도 많다고 하네요. 이들은 꼼꼼하게 일을 처리합니다. 대신에 아이디어를 내거나, 새로운 방향을 정하는 일은 취약한 편입니다. ISTJ는 내향형중에서 소득이 제일 높은 편이라고 합니다. 소득 1위가 ESTJ이고 2위가 ENTJ인데 3위가 ISTJ라고 하네요... 더보기
MBTI - N과 S의 차이점. 누가 더 돈을 잘벌까 MBTI에서 가장 이해가 어려우며 사람간의 차이가 가장 큰 것은 N과 S이다. 어떤 사람과 말이 잘 통하지 않는다고 느낄 경우엔 대부분 한명은 N이고, 다른 한명은 S인 경우다.  N( intuition )은 직관형, S( sensing )는 감각형이라고 한다.  똑같은 '사과'를 보더라도 감각형은 겉으로 보이는 대로 받아들이고직관형은 사과를 보고 다른 무언가를 생각해낸다.  감각형은 '사과'를 보았을때 "사과다", "빨갛다", "껍질에 흔적이 있다", "둥그렇다" 처럼 겉으로 보이는 걸 떠올린다. 직관형은 '사과'를 보았을때 "처음 사과를 기른건 누굴까?", "뉴턴의 사과는 정말 있었던 일일까?" 등 의미나 연상을 떠올린다.  감각형이 현실을 그대로 보는 경향이 있다면직관형은 현실 너머를 본다.  감각.. 더보기